안녕하세요 은쯔남편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이 많은 편인데요. 생각은 많은데 정리가 잘 안될 때가 있어서 좋은 생각 나쁜 생각들 모두 그냥 흘러가서 다시 생각하고 고민해야 할 때가 많았어요. 그러던 중 세바시에서 생각 정리하는 법에 대한 좋은 강의가 있어서 정리해서 알려드리려고 가져와 보았어요. 생각정리 클래스의 복주환 대표님의 강의 였어요. 어떤 내용인지 지금부터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
《생각 정리하는 법》
《서문》
우리가 생각을 정리 할 때 알아야 할 것은 생각에 어떤 생각들이 있느냐 입니다.
1.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
2. 내 인생을 더 나은 삶으로 바꿀 수 있는 그런 생각들
3. 정말 가치 있는 아이디어
이런 생각들이 좋은 생각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미국 국립 과학재단의 연구 결과로는 우리 머릿속에는 5만~7만가지의 생각이 떠오르는데 그 중 80%가 부정적인 생각이오 어제 했던 생각이 95%라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좋은 생각을 어떻게 뽑아낼 수 있을까 고민을 한 결과 다섯 단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단계는 기록
2단계는 수집
3단계는 메모
4단계는 기획
5단계는 실행
이 5단계를 이제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록》
기록을 해야 하는 이유는 생각의 특징 때문인데 생각은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마구잡이로 떠오르고 좋은생각이 떠올라도 금방 휘발되어 버립니다. 머리로만 기억하려하면 왜곡 되기도 쉽고 사라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머리로만이 아니라 손으로 써야 합니다. 손을 움직이는 것 만으로도 뇌가 활성화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예) 복주환 대표님도 어린시절 수학여행에서 레크레이션 강사가 말 한마디로 사람들을 울리고 웃기는 것이 너무 감동적이어서 저 사람처럼 되고싶다고 생각해서 다음날 문방구에 가서 노트를 사고 기록을 했다고 합니다. 나의 꿈은 레크레이션 강사의 모습처럼 되는 것이다. 이것이 가장 잘한 기억이었다고 하시네요.
《조사, 메모》
기록을 하고 나서 기록에서 끝나지 않기 위해서 두 번째 단계인 조사가 필요합니다.
갑자기 사랑의 어원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는데 대표님은 여러가지 어원이 있겠짐ㄴ 사랑의 어원이 양에서 유래가된 사량 생각의 양이 어원중에 하나라고 생각한ㄷ고 하시네요.
생각이 많ㅇ진다는 것은 질문이 많아지는 것이고 저 사람처럼 어떻게 하면 될 수 있지를 고민하기 시작하는데 생각이 많은게 아니라 사랑이고 본질이 사랑이라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이 사랑의 어원과 같이
예) 레크레이션 강사처럼 되고 싶다고 할 때 선생님에게 가서 이런 사람이 되고 싶은데 어떤 학교를 가야 되겠습니까? 아니면 친구들에게 물어보면서, 인터넷을 찾으면서 정보를 수집합니다. 새로운 자극들이 들어오게 되면서 새로운 생각이 떠오르게 되고 그러면서 메모를 굉장히 많이 하게 됩니다. 그리고 생각을 책의 여백에 적어내고 이걸 여백 독서법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이렇게 많아진 메모, 생각들을 가지고 무엇을 하냐 기획을 하게 됩니다.
《기획, 실행》
머리속에 있는 수많은 생각 중에서 쓸모 있는 생각을 남겨서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할 수 있겠끔 객관적으로 정리를 해야 하는 합니다.
말을 잘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노력하다 보니 생각 정리를 잘하고 글을 잘쓰는 방법을 알게되면 말을 잘 할 수 있겠군 이라는 걸 깨닫게 되고 그 과정속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모아서 콘텐츠를 만들고 포스터, 책 표지 명함을 만들고 책을 쓰고 기획서 형태로 강의도 기획하고 사업도 하고 행동으로 이끌어 나가게 됩니다.
《삶 속 적용 예시》
대표님은 어린시절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영장을 받게 되면서 3개월 뒤 군대를 가야 되는 상황이 와서 머리에 부정적인 생각이 가득찼는데 입대하자 마자 문뜩 든 생각은 뭔가를 반복하면 변화가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답니다.
군대에서 하고 싶은 것들을 기록하기 시작헀는데 한 멘토님이 말 잘하는 사람이 되려면 조선시대 인재 등용 기준인 신언서판을 알려 주셨습니다.
신 매일 운동하고 몸을 가꾸고
언 매일 독서를 해서 말하는 실력을 가꾸고
서 매일 글을 쓰고
판 판단력을 위해 일기를 쓰라고
말해주신 것을 듣고 생각들을 표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매일 사이클을 탔고 체크리스트를 만들어서 감사, 미소, 칭찬, 스트레칭 등을 인생을 변화하기 위해서 노력했고 외부에 있는 좋은 지식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책의 목록을 기록해서 매일 읽고 기록하고 일기를 매일매일 써내려 가고
체크리스트를 작성해서 메모하고 기록하고 인생을 기획하고 행동으로 옮겨서 군대에서만 책을 297권을 읽고 발표를 경연대회에서 우승하고 몸의 변화역시 좋은 생각을 뽑아내는 방법으로 변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큰 틀에서 도구들이 더해지는 것들이 만다라트표, 마인드맵 ,로직트리 등 우리가 알고 있는 기법들을 적용해서 디테일을 더해간 내용을 영상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유튜브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래요.
《마치며》
영상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우리가 다 알고 어렴풋이 경험해 보았던 내용들을 제대로 실천해서 얼마만큼 자기의 것으로 체화시키는가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고. 대략적으로 알고 있었지만 루틴이 될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게 가장 인상 깊었어요. 저는 생각을 메모도 하는 편인데 메모하고 수집까지는 가지만 기획 실행이 될 정도의 노력이 스스로에게 부족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아이디어는 많은데 뭔가 결과물이 없어서 아쉬울 때가 많았거든요. 기록하고 수집하고 메모해서 기획해서 실행에 이를 때 까지가 우리의 계획의 완성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배울 수 있었던 영상인 것 같습니다. 이런 단게를 거치면 복잡한 우리 생각도 정리되어서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 할 수 있는 정도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이상으로 생각을 정리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본 은쯔남편이었습니다.
'공부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적 자유를 위해 효율적으로 일 잘하는 10가지 방법 (1) (1) | 2022.11.06 |
---|---|
이직을 원하는직장인을 위한 공부법 이윤규 변호사 공부법 정리 (0) | 2022.05.18 |
이윤규 변호사 공부법 집중하는 법 공부 집중 정리 (0) | 2022.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