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은쯔남편입니다. 오늘은 정신건강에 대해서 글을 쓰기 전에 서문처럼 글을 써보려고 해요 저는 성인 ADHD를 앓고 있습니다. 그래서 강박증, 집중장애, 공황장애, 불안장애 등 다양한 질병을 앓기도 했고 지금 계속해서 회복해 가고 있어요. 여기서 얻었던 정보 혹은 팁들을 공유해 드리면서 비슷한 증상을 담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면서 글을 쓰려고 해요.
《성인 ADHD를 앓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
저는 성인 ADHD를 앓고 있습니다. 22년 4월달에 정신과를 가게 되면서 완전하게 진단을 받게 되었어요. 저같은 경우에는 어릴때 부터 성인 ADHD의 특징을 가지고 살고 있었고 모른채 방치하면서 자라왔습니다. 두뇌검사하는 기구로 뇌파를 측정하여서 ADHD의 파장이 있다는 것을 통해서 ADHD 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스스로에 대한 자기 비하, 자책, 우울, 불안장애, 극심한 스트레스 등이 31세에 모든 것이 폭발하며 터져 버렸고 33세까지 많은 시간을 휴식과 운동, 영양제 많은 것들을 시험하면서 건강을 돌보았고 지금은 조금씩 건강을 회복하면서 내가 왜 그런 행동들을 했었는지 어떻게 성장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고 알아가고 있습니다. 그 이야기를 조금씩 작성하면서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부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생각하면서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나아지고 있는지?》
저는 걱정하시는 부모님이나 여러가지 자료를 검색해 본 결과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스스로 치료를 진행해 나가고 있고 가장 주된 도움을 받은 부분은 EFT와 영양제 였습니다. 그 부분들을 적용해 가면서 다른 사람의 판단과 비판에도 덜 흔들리는 마음을 만들어가고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지녀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얻은 시행착오들도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떻게 글을 써나갈지》
성인 ADHD에 대한 궁금한점 뿐 아니라 어떻게 병원을 찾게 되었고 ADHD환자가 흔히 하는 고민 걱정들에 대한 설명 및 병원 치료가 필요한 분들 성인 ADHD에 대한 정보 성인 ADHD 병원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여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물질적 풍요가 증가할 수록 정신적 건강에 관한 것이 대두되고 있는 세상입니다. 예능에서도 오은영 박사님이 나오는 예능이 점점 많아지고 있지요? 서클하우스, 금쪽상담소, 오은영리포트 -결혼지옥 등, 이유가 무엇일까요? 앞선 세대가 빠르게 성장하는 대한민국 속에서 성장에 몰두하였다면 고도화된 성장에 따른 경쟁의 폐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각 사람에 대해서 가치를 생각하지 못하고 물질적인 것들에 대해서 아니면 SNS 등에서 나타난 다른 사람과의 비교에서 오는 자책감 등 많은 것들이 우리의 정신 건강을 무너뜨려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2016~2020년 우울증, 수면장애(불면증), 공황장애 환자수 [자료출처: 국민건강보험]
질병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우울증 | 643,105 | 682,031 | 752,967 | 798,787 | 831,721 |
수면장애 | 543,184 | 562,673 | 601,113 | 636,061 | 656,391 |
공황장애 | 127,908 | 146,778 | 169,136 | 183,768 | 196,066 |
2016년에서 2020년까지 데이터이지만 코로나로 인해서 치주질환 백내장, 호흡기 질환 등으로 병원을 찾는 비율은 점점 감소했지만 정신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9년도에서 2020년도가 되었을때 우울증 환자수는 4.1% 증가하였고 수면장애로 진료받은 사람은3.2% 증가 하였고 공황장애 환자수는 6.7% 증가하였습니다. ADHD 환자수는 2019년 72,437명에서 2020년 79,212명으로 6775명이 증가하였습니다.
이 비율과 환자수가 말해주는 것은 정신과에 가는 것이 특별한 사람의 일이 아니라 일상적인 일이 되어가고 생각합니다. 성인 ADHD 환자수가 79,212명이라고 하지만 병원을 가지 않는 사람을 포함하면 더 많겠지요? 병원에 가야하나 가지 말아야 하냐 저도 고민이 많았습니다. 병원에서 확진을 받고 나니 오히려 시원한 것도 있었고 자신에 대해서 더 제대로 인지하게 되는 면도 있었어요.
이런 고민들을 글에 녹여 내면서 내가 병원을 가야하나 말아야 하는 고민이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들을 써내려 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로지 성장과 물질적인 것들에 대해서만 관심을 하다보니 마음적으로 소외된 사람들 모두가 함께 릴렉스하고 건강한 마음을 가지고 살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상으로 은쯔남편 이었습니다.
'생활 꿀팁 > 건강-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우울증인가? 우울증 진단하기 (2) | 2022.07.20 |
---|---|
어릴적 형성된 부정적 신념을 긍정의 소리로 바꾸는 법 정리 - 박재연 리플러스 인간 연구소 소장 (0) | 2022.07.16 |
성인 ADHD 영양제(1) - 철분 Fe (0) | 2022.06.10 |
게으른 게 아닌 성인 ADHD를 앓고 있다는 6가지 증거 (0) | 2022.06.06 |